대한제국과 미국과의 외교 단절의 배경에는 그 당시 일본과 미국과 러시아와 영국간의 4강의 자국 우선주의로 인한 것이었다. 먼저 일본과 영국의 관계에서는 영국은 러시아의 동해와 태평양 진출을 막아내는 데에는 일본이 가장 실효적 파트너였고 일본으로서는 러시아제국이 동해로 진출한다는 것은 일본의 안보와 국익 차원에서 반드시 막아야하는 절체 절명의 선택일 수 밖에 없었다. [시사리뷰] 가쓰라-테프트 밀약의 배경과 미국의 배척(하) » […]
한미 140년 외교 관계의 여정은 애증(愛憎)의 질곡진 역사의 단면을 갖고 있다. 그만큼 동아시아와 조선 역사가 불안정했고 험로였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국제 사회에서는 어제의 우방이 오늘에 적국이 되기도 하고 오늘의 우방이 내일에 적국이 되는 사례는 매우 흔하다. [시사리뷰] 가쓰라-테프트 밀약의 배경과 미국의 배척(상)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10회 » 글 강석진 목사 » 우리는 […]
조선과 미국과의 통상 및 근대화 사업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상업적 교류는 금 광산의 채굴권이었다. 조선에서는 예로부터 평안도 운산군에 소재하고 있는 운산광산이 금과 은의 매장량이 풍부했고 그 순도가 매우 높은 양질의 금은 광산이었다. [시사리뷰] 조선 최대 국가 사업 운산 금광산 개발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9회 » 글 강석진 목사 » 그러나 […]
1882년5월 22일에 해양 국가이며 기독교권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이 맺어짐으로 그 다음 해에 한성에 최초의 서양국가의 공사관이 설립되어 미국의 성조기가 게양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무엇보다도 문화 교류보다는 조선과의 상업적 교역을 기대하였으나 일본과는 달리 별무 상태였다. [시사리뷰] 최초 한성 시내에 전차가 다니게 되다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8회 » 글 강석진 목사 » 그 당시 조선은 그만큼 […]
알렌과 박정양은 천신만고 끝에 결국 두 달이 지체된 후 1887년 12월 10일에 요코하마항에서 미국으로 향하였다. 이들 일행은 12월 28일에 샌프란시스코항에 도착하여 열차 편으로 대륙을 횡단하는 기차를 타고 1888년 1월 9일에 워싱톤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놀랍게도 고종은 알렌에게 청의 굴욕적인 조건을 수용한 것에 대해 알리질 않았다. 그 내용을 알게 되면 알렌은 주미공사의 참찬관 자리를 내려놓을 것이 뻔했기 […]
고종은 미국과 1882년 5월에 수교를 맺은 후에는 오랫동안 종속 관계를 이어왔던 청나라로부터 벗어나려했고 일본과는 1876는 강화도 수호통상 이후 조선을 향한 침탈적 압박이 가해 오자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미국에 공사관 설치를 과감하게 추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외교적 절차에 대해 사전에 청나라의 리홍장에게 알리지 않고 은밀히 진행했다. [시사리뷰] 박정양 초대 주미 전권공사 임명의 막전막후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
알렌 선교사의 큰 한국교회사 기여, ‘민영익을 외과 수술로 살려냄’… 알렌의 이같은 조선의 근대문명화와 외교에 미친 영향은 조선이 그 당시에 필요로 한 시대적 요청에 충실함으로 그 결실을 조선인들은 누리게 되었다. [시사리뷰] 알렌 선교사의 큰 한국교회사 기여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5회 » 글 강석진 목사 » 알렌 선교사의 빼놓을 수 없는 한국교회사의 기여는 그가 […]
조선의 보빙 사절단이 미국과 수교 관계를 맺은지 1년 만에 고종의 최측근인 민영익을 위시한 11명은 미국의 여러 산업 시설과 국가 기관을 방문하면서 신세계를 보며 그야말로 문명 충격을 받았다. [시사리뷰] 조선근대문명화의 발동이 걸리다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4회 » 글 강석진 목사 » 그러나 고종이 원하는 바는 미국을 통한 서구의 근대문명화 도입보다는 내심으로는 미국이 조선의 […]
조선과 미국과의 수교가 성립된 배후에는 지금처럼 한반도를 둘러싼 매우 복잡한 이해 관계가 당사국 간에 얽혀있었다. 먼저 조선은 새로운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청과의 오랜 종속(사대) 관계를 미국과의 관계처럼 자주적 평등 관계로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첫째 청이 취해온 해금 조치를 풀고 조선과 통상할 것, 둘째 조선이 전통적으로 취해온 청국 사신 접대하는 제도를 폐지할 것과 셋째 전통적인 사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