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1, 2025

베트남 전쟁 국군 파병과 건설 및 토목 공사 진출로 맞이한 국가 재건의 기회

[시대조망]  베트남 전쟁 국군 파병과 건설 및 토목 공사 진출로 맞이한 국가 재건의 기회 » 한-미수교 140년의 근현대문명사 리뷰-21 »  오늘의 대한민국이 과거 60여년 전에는 가장 후진국이었지만 이제는 경제력이 세계 10위권 유지하고 있다. 이는 어느 나라들도 이룩하지 못한 경이로운 기적을 창출했다. 그 증거로서 최첨단의 반도체 생산과 기술력을 갖고 있고, 자동차 생산력은 세계 3위이며 최고 수준의 […]

August 2, 2025

미국은 왜 한일국교 정상화(1965)에 영향력을 행사했나

[시대조망]  미국은 왜 한일국교 정상화(1965)에 영향력을 행사했나 » 한-미수교 140년의 근현대문명사 리뷰-20 »  금년 2025년이 한.일 국교정상화의 60주년을 맞는다. 오래 전부터 한.일간에는 멀고도 가까운 나라로 이어져 왔다. 이제는 가장 가까운 나라로 거듭나게 되어 가장 많은 인적 교류와 무역 거래와 상호 방위상의 전략적 가치가 어느 국가보다 높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같은 결과의 역사적 배경에는 60년 전 […]

근 현대 문명화의 인재들을 키워준 미 선교사들과 플브라이트 장학재단의 기여

[시대조망]  근 현대 문명화의 인재들을 키워준 미 선교사들과 플브라이트 장학재단의 기여 » 한-미수교 140년의 근현대문명사 리뷰-19 »  지금으로부터 140여 년 전에는 조선에 근대과학문명이 사실상 전무하였었다. 이에 반해 이당시 일본과 중국은 서구의 근대과학문명이 싹트고 있었다. 이러한 시대상에 처해 있을 때에 미국에서 온 선교사들이 최초로 서양의 근대문명의 전령자들이 되어주었다. 시작은 의학(광혜원)으로 조선인들의 생명을 구하는 일로 시작되었으나 여러 […]

이승만의 결기있는 한 • 미상호방위조약의 성사

[시대조망]  이승만의 결기있는 한 • 미상호방위조약의 성사 » 한-미수교 140년의 근현대문명사 리뷰-18 »  1950년 6,25일에 발발된 한국전쟁은 단순히 남과 북만의 전쟁이 아닌 자유진영과 공산 진영과의 처절한 격전이 되어 양측 모두 상당한 인명 피해와 전쟁으로 인한 피로도가 극한에 이르렀다. 그런 잔혹한 전쟁이 약 1년 이상 진행되자 미국이나 중공, 소련도 전쟁을 종식시킬 필요가 피차 절실한 상황이 되었다. […]

April 30, 2025

애치슨 라인 방위 정책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과 한미 관계

한-미수교의 역사는 전적인 하나님의 시대적 섭리 가운데에 시작되었고 진행되어 왔다. 두 나라 사이에 태평양이라는 머나먼 거리와 서양 문명과 동양 문명권이라는 극명한 차이가 있었음에도 한 세기 반이 넘는 역사 속에 그 관계가 때로는 단절되거나 다시 회복되었던 과정은 미국의 국익 차원에 기인된 것이기도 하였다. 그런 과정 속에서 지금까지 두 나라가 그같이 긴 역사를 이어 왔다는 것은 달리 […]

April 19, 2025

1948년 8월 15일 “역사적인 최초 민주공화국 수립”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이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정부가 수립된 것은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이 승전하고 한반도 내의 독립된 정부를 세우고자 미군정의 힘쓴 3년의 결실이기도 하다. 만일 미군정 통치의 과도기가 없었다면 그 때의 정황으로 볼 때에 극심한 이념의 대립과 사회, 정치 분야에 나타난 상당한 무실서로 무정부 상태로 무너질 수 밖에 없었거나 공산화가 되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미 해방 이전에 한반도의 […]

March 21, 2025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한국과 미국과의 외교사 140년을 볼 때에 전반기에 해당하는 조선 말기인 1866부터 해방 시기인 1945까지의 격변의 역사 중에 나라의 존망이 거듭되는 위기와 단절과 회복의 역사로서 애증의 관계이기도 하였다. [시대조망]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 글 강석진 목사 » 미국과의 관계는 처음에는 악연의 관계로 1866년 8월에 미국 국적의 제널럴 셔만호가 일방적으로 평양 대동강으로 강제 진입함으로 그 당시에 엄중한 […]

September 24, 2024

이승만의 미국에서의 독립운동

이승만은 5년 동안 초인적으로 죠지 워싱턴대학과 하바드대학과 프린스턴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 과정을 마치고 1910년 10월에 고국으로 돌아와 YMCA에서 총무직을 맡으면서 조선의 지식인들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각종 개화 활동에 헌신하였다. [시사리뷰]  이승만의 미국에서의 독립운동 » 글 강석진 목사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16회 » 그러나 그것도 잠시 일제가 조작한 ‘105인사건’으로 인해 1912년 3월에 다시 미국으로 도피하였으나, 미주 […]

September 24, 2024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을사조약(1905.11)으로 대한이라는 나라의 외교권은 사실상 박탈된 것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수모가 실행되기 4개월 전인 1905년 7월에 ‘가스라 테프트 밀약’으로 미국은 사실상 일본이 대한제국의 지배를 묵인하였고 바로 이어서 주한미공사관을 폐쇄시켰다. [시사리뷰]  이승만의 외로운 대미외교 활동과 시련 » 글 강석진 목사 » 한미수교 140여년 근대문명사 리뷰 시리즈 15회 » 이 당시 영국과 미국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에서 […]

September 21, 2024

3.1독립만세운동 촉발점 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세계 1차대전이 끝나기 대략 1년 전인 1918년 1월 미 의회에서 ‘세계평화를 위한 14개 조항’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영토적 야심이 없는 해양 무역 국가인 미국이 식민지 종주국 중심으로 구축 되어왔던 경제블럭을 해체하고 평등주의에 입각한 국제통상을 확대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를 만들자는 파격적인 제안이었다. 이를 위한 명분으로 ‘민족자결주의’ 원칙이 제시된 것이다. [시사리뷰]  3.1독립만세운동 촉발점 된 […]